개요
자본재산업의 기술개발 및 사업화를 촉진하여 기술수준을 향상시킨 유공자의 자긍심을 고취하고, 신시장 개척, 일자리 창출 등을 통한 국가경쟁력 강화에 기여한 유공자 및 유공기업을 폭넓게 발굴․포상
목적
- 자본재산업 경영인 및 종사자의 사기진작
- 자본재의 국산개발과 수요기반 확대 및 품질향상 의욕 고취
- 자본재산업에 대한 국민 인지도 제고 및 대외 신인도 제고
추진경위
산업통상자원부와 한국기계산업진흥회는 자본재 국산화를 통한 제조업 경쟁력 강화와 국가산업발전을 위하여 불철주야 노력하는 기계산업인의 사기진작을 위하여 1984년부터 포상을 실시한 이래 현재에 이르고 있음
- 우수국산기계 개발업체 포상(‘84~’88)
- 기계류 기술개발과 국산화 촉진, 품질수준 제고를 통한 수요자 제품 경쟁력향상과 국제수지 개선을 위하여 포상 시행
- 우수국산기계탑 포상(‘89~’91)
- 포상명칭을 변경하여 대상, 금상, 은상, 동상, 우수기계상으로 구분 시행
- 기계류․부품․소재 국산화유공자 포상(‘92~’94)
- 산업훈장, 산업포장, 대통령표창, 국무총리표창 등 정부포상으로 격상 시행
- 첨단기술개발, 부품개발 등 기술개발 및 품질수준제고, 품목중심으로 시행
- 우수자본재 개발유공자 포상(‘95~‘16)
- 자본재산업 육성대책을 범정부적으로 추진함에 따라「우수자본재 개발유공자 포상」으로 명칭을 변경하여 전체 자본재를 대상으로 포상
- 기계로봇산업 발전유공 포상('17~)
- 기술개발 외 산업발전에 기여한 임직원, 기업을 포상하기 위해 산업발전부문 추가
- 기계로봇산업 발전유공 포상('20~)
- 냉난방공조산업 발전유공 및 로봇산업 발전 유공 포상을 통합,「기계로봇산업 발전유공 포상」으로 변경 시행
포상부문
포상부문 | 대 상 |
---|---|
기술개발 유공자 부문 | 자본재 기술개발을 통해 수입대체 등 산업발전에 기여한 근로자, 임원, 기업인 |
기술개발 유공기업 부문 | 자본재 기술개발을 통해 수입대체 등 산업발전에 기여한 기업 |
산업발전 유공자 부문 | 신시장 개척, 글로벌 경쟁력 제고, 생산성 향상, 동반성장, 일자리 창출 등을 통해 자본재 산업의 발전에 기여한 근로자, 임원, 기업인 |
산업발전 유공기업 부문 | 신시장 개척, 글로벌 경쟁력 제고, 생산성 향상, 동반성장, 일자리 창출 등을 통해 자본재 산업의 발전에 기여한 기업 |
지원 유공자 부문 | 자본재산업 육성을 위해 자금, 기술, 인력 등을 지원한 단체 및 공공기관의 임직원 |
지원 유공기업 부문 | 자본재산업 육성을 위해 자금, 기술, 인력 등을 지원한 단체 및 공공기관 |
포상훈격 및 규모
구 분 | 유공자 | 유공기업 | 계 |
---|---|---|---|
산 업 훈 장 | 2 | - | 2 |
산 업 포 장 | 3 | - | 3 |
대 통 령 표 창 | 6 | 2 | 8 |
국 무 총 리 표 창 | 4 | 4 | 8 |
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| 18 | 10 | 28 |
※ 2020년도 포상규모
선정절차
공고 및 접수(3월~4월) → 포상추천 → 1차 심사(서류) → 현장실사 → 2차 심사 → 산업부 포상위원회 개최, 검증 → 행안부 정부포상 확정 및 통보 → 유공자 포상식 개최
※ 2021년도 기계로봇산업 발전유공 포상 공고 및 접수안내는 추후 홈페이지 공고
포상식
2021년 미정(추후 공지)
담당부서 및 연락처
- 포상TF
- 전화 : 02-369-8504